우리의 歷史교육은 올바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30 12:00본문
Download : 우리의 역사교육은 올바른가_3613.hwp
특히 ‘개항’부터 ‘해방’에 이르는 시기의 歷史(역사)는 아예 我(‘우리 나라·민족)’와 非我(일본 등 외세와 북한)의 투쟁歷史(역사)로 敍事構造가 정형화되어 있음을 볼수 있다
** 물론 국가·민족 단위의 歷史(역사) 교육은 중요하다.
설명






순서
다. 식민지시대에 절실히 경험했듯이 국가와 민족이 망하면 그에 소속된 사람들의 삶은 피폐해질 수밖…(To be continued )
국가·민족 중심의 歷史서술
■ 국가 민족 단위의 삶 이외에 좀더 다양한 단위, 좀더 다양한 차원의 삶들이 ‘歷史화’되어야 한다. 특히 근대는 국가·민족간 경쟁이 치열한 시대였으므로 다른 무엇보다 국가·민족 단위의 삶이 소중했으며, 그래서 근대 국민교육(공교육) 과정에서 애국심이나 민족정체성 교육이 강조될 수밖에 없었다.
** 교과서 title을 통해서도 확인할수 있듯이 ꡔ국사ꡕ는 모든 한국(사람과 사회, 혹은 자연과 環境(환경))의 歷史(역사)를 국가(‘우리 나라’, ‘우리 국민’)와 민족(‘우리 민족’)의 관점에서만 說明(설명) 하고 있다 가령 고등학교 ꡔ국사ꡕ의 「머리말」에 보이는 “우리의 歷史(역사)는 우리 민족이 살아온 발자취로서, 우리 자신이 영위하고 있는 삶의 뿌리이기도 하다”는 표현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example(사례) 라 할 수 있을 것이다.국가·민족 중심의 역사서술 ■ 국가 민족 단위의 삶 이외에 좀더 다양한 단위, 좀더 다양한 차원의 삶들이 ‘역사화’되어야 한다. ... , 우리의 역사교육은 올바른가?사범교육레포트 ,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레포트
...
우리의 歷史교육은 올바른가?
Download : 우리의 역사교육은 올바른가_3613.hwp( 95 )
국가·민족 중심의 歷史(역사)서술
■ 국가 민족 단위의 삶 이외에 좀더 다양한 단위, 좀더 다양한 차원의 삶들이 ‘歷史(역사)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