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china(중국) 어의 친화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12:40
본문
Download : 한국어와 중국어의 친화 관계.hwp
레포트/인문사회
2. 우리민족이 china(중국) 과 동일족이라는 주장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2. 우리민족이 중국과 동일족이라는 주장 기자동래설 - 기자라는 유이민이 중국 갈석산 부군에서 우리나라로 건너와 기자조선을 세 ... , 한국어와 중국어의 친화 관계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국어와 중국어의 친화 관계.hwp( 32 )
2. 우리민족이 중국(中國)과 동일족이라는 주장
기자동래설 - 기자라는 유이민이 중국(中國) 갈석산 부군에서 우리나라로 건너와 기자조선을 세 는데, 여기에서 우리 민족이 중국(中國)의 후예가 아니냐는 설이다. 그러나 보격적인 개명시기는 경덕왕 때로 16년(759)에는 전국에 9주응 두고 주·군·현의 명칭을 중국(中國)식의 한자어로 고치기도 했으며, 동와 17년 (759)에…(투비컨티뉴드 )


순서
한국어와 china(중국) 어의 친화 관계
기자동래설 - 기자라는 유이민이 china(중국) 갈석산 부군에서 우리나라로 건너와 기자조선을 세 ...
다.
위만조선 - 위만이 연나라에서 건너와 위만조선을 세는데, 이것으로 보아 중국(中國)의 후예이다.)
3. 우리말이 한자로 대치되는 경향
(1) 천문·지리·기후·친족·가옥·인체·의복·방위
방위 - 東,西,南,北
친족어 - 兄, 아버지편의 형제와 그 부인들 및 그 자매와 남편들 또 어머니편의 형제와 그 부인들 및 그 자매와 그 남편들의 명칭이 일체 중국(中國)어의 차용.
지리 - 山, 川
(2) 인명, 지명, 왕명 개명
a. 지명 - 고구려는 경덕왕 때의 개명시인 757년보다 90년 가까이 앞서서 이루어진 669년에 토착어 지명인 ‘홀’이 ‘성’으로 바뀌었으며 백제도 경덕왕 때 보다 는 앞서서 개명되어졌다고 본다. (반론 : 위만은 중국(中國)에서 건너온 유이민이나 고조선의 준왕이 그의 망명을 허락 하면서 박사라는 관직명을 준 것이나, 그가 위만 조선을 세우면서 국호를 바꾸지 않은 점, 또 통치 계급이 중국(中國)인이 아닌 토착 조선인이었다는 점에서 그가 중국(中國)인 이라는 확실한 증거가 없고, 오히려 우리민족 사람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점 으로 보아 우리가 중국(中國)의 후예라는 것은 부당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