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government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measure(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12:09
본문
Download :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방안_135733.hwp
2. 전자政府(정부)의 비전과 課題
한국의 ‘전자政府(정부)’는 “국민지향적이고 효율적인 열린 政府(정부)”라는 비전을 갖고 추진된다 아울러 전자政府(정부) 구현을 위한 課題로 6대 분야와 각 분야별 하위의 3대 주요課題를 선정하여 총 18대 課題를 설정하고 있따 이 중 6대 분야의 내역은 ①국민지향적 행정서비스 실현, ②행정업무의 효율적 재설계, ③행정정보 공동이용의 활성화, ④공무원 개인 사무의 생산성 제고, ⑤행정정보기반 정비, ⑥법·제도 改善(개선) 으로 되어 있따
제4절 결 어
이상에서 미국, 日本(일본), 한국의 전자政府(정부) 구현정책을 살펴 보았는데 각국의 정책들이 추구하는 이념이나 目標(목표), 課題나 전술들로부터 몇 가지 공통점을 찾아 볼 수 있따
정충식(1997)에 의하면 “전자政府(정부)”의 定義(정이) 은 future 행定義(정이) 이상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이념적인 수준까지 확대하여 규정해야 한다고 하면서 전자政府(정부)란 “초고속정보통신 기반기술 등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행정업무를 재 설계하고 대 국민서비스를 증진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민주주의 이념을 실현하는 future 의 혁신적 행정모형”이라고 행정이념의 측면에서 定義(정이)하고 있따 정충식, “전자政府(정부)의 定義(정이) 정립 및 구현방안(方案)”, 「사회alteration(변화) 와 행定義(정이) 쇄신」(한국행정학회, 1997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73. 이 定義(정이)에 의하면 ‘전자政府(정부)’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目標(목표)는 ‘政府(정부)의 전자화’가 아니라, ‘전자화를 통한 …(drop)
제3절 한국의 전자정부 구현정책행정자치부가 금년도 3월에「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안)」 행정자치부 행정관리국, 「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안)... ,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방안법학행정레포트 ,
다.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방안_135733.hwp( 62 )
레포트/법학행정
행정자치부가 금년도 3월에「전자government 의 비전과 전략(안)」 행정자치부 행정관리국, 「전자government 의 비전과 전략(안)...
제3절 한국의 전자government 구현정책
설명
전자government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measure(방안)
순서
제3절 한국의 전자政府(정부) 구현정책
행정자치부가 금년도 3월에「전자政府(정부)의 비전과 전술(안)」 행정자치부 행정관리국, 「전자政府(정부)의 비전과 전술(안) -21 세기(世紀) 전자政府(정부)로 가는 길」
(1998.3), pp.10-30.에서 제시한 한국형 전자政府(정부)의 定義(정이) , 비전, 課題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자政府(정부)의 定義(정이)
‘전자政府(정부)’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행정과정을 전자화 함으로써 행정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국민에 대한 政府(정부)의 각종 정보 및 서비스를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future 의 혁신적 행정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