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육성과 부산지역의 국제화 전략(strateg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9:06
본문
Download : 벤처기업육성과 부산지역의 국제화 전략.HWP
순서
up벤처기업육성과부산지역의국제화전략(strategy)
,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벤처기업육성과 부산지역의 국제화 전략.HWP( 85 )






그럼에도 불구하고 벤처기업의 육성이 부산지역 국제화에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라는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up벤처기업육성과부산지역의국제화전략 , 벤처기업육성과 부산지역의 국제화 전략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다. 더욱이 부산지역의 국제화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건설·통신·유통…(drop)
벤처기업육성과 부산지역의 국제화 전략(strategy)
부산을 국제화하는데 있어서 벤처기업의 육성이 필수적이라는 인식하에 벤처기업 입지지역으로서 부산의 비교우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지역 국제화를 위한 벤처기업육성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표 9>의 1995년대비 1996년 벤처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을 보더라도 사업서비스업과 건설·통신·유통업에서의 매출액이 다른 사업분야에서의 매출액 증가율보다 훨씬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사업분야의 mean(평균) 매출액이 증가율이 20% 중반대의 수준인데 비하여 사업서비스업과 건설·통신·유통업의 증가율이 각기 66.3%과 43.2%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사업서비스업 비중이 높을 뿐만 아니라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은 벤처기업이 다른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큰 공헌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산을 국제화하는데 있어서 벤처기업의 육성이 필수적이라는 인식하에 벤처기업 입지지역으로서 부산의 비교우위를 analysis(분석) 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지역 국제화를 위한 벤처기업육성전략(strategy)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이유는 벤처기업이 무역관련 서비스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양현봉(1997) 등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주사업분야는 정보처리 및 소프트웨어 등 사업서비스업(15.7%), 기계산업(14.94%), 컴퓨터 및 전기전자(4.73%)의 순서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