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광복 후 교육과정에서부터 제1차 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6:11
본문
Download : 광복 후 교육과정에서부터 제1차 교육과정.hwp
설명
다. 1945년 10월 1일을 기해 중등학교 이상의 교과편제와 시간배당은 <표 2>와 같이 수정·시달되었다(홍웅선, 1979).
1) 이념 및 기본 방향
광복후 교육과정에서부터 1차교육과정까지 조사한 report입니다
광복,교육과정,1차교육과정,1차 교육과정,교수요목기
1945년 일본의 패망과 함께, 서울로 진주한 미군은 한국 교육위원회를 조직하고, 이 위원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미군정청 학무국에서 `신 조선의 조선인을 위한 교육`을 일반 명령으로 시달하였다.
광복후 교육과정에서부터 1차교육과정까지 조사한 레포트입니다
Download : 광복 후 교육과정에서부터 제1차 교육과정.hwp( 69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편제 및 운영
순서
(1) 초등학교
(2) 중학교
가.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1945∼1946)
(3) 고등학교





[교육과정] 광복 후 교육과정에서부터 제1차 교육과정
가.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1945∼1946)
1945년 9월에 발표한 시간 배당과 편제는 임시방편의 것이기는 하였으나, 제국주의적 색채가 강한 수신과를 없애고 공민과를 신설한 점, 우리말로 수업이 이루어진 점, 국사를 교과목에 포함시킨 점 등이 특기할 만하다.
다. 그 중 교과목에 관련해서는 상당히 포괄적으로 진술하였는데, 이는 `교수용어를 한국어로 할 것과 조선의 이익에 반하는 것을 교수함을 일체 금하는`정도였다.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참고한 문헌
나. 교수요목기(1946∼1954)
당시의 중학교는 고등학교, 사범학교 심상과, 그리고 실업학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시간 배당과 교과목 편제에서도 과도기적 현상을 찾아볼 수 있따 수업 시수는 1주일에 32 ∼ 34시간 정도였고, 국어, 수학, 영어 등 도구 교과에 치중하였다. 또한, 평화와 질서를 당면 교육goal(목표) 를 하고, 교육제도와 법규에서 일본적 색채를 없애도록 하였으며, 다음 <표 1>과 같은 초등학교·중등학교 교과 편제 및 시간 배당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