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터전으로서의 未來주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13:55본문
Download : 삶의 터전으로서의 미래주택_3537.hwp
결국, 근대건축은 기능과 관계로 부터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계미학적 접근에 의한 건축의 추구는 관계상실의…(투비컨티뉴드 )
건축문화 잡지사에서 특집으로 기획한 [우리의 삶을 담을 未來 주택의 모습] 에서 필자에게 의뢰한 제3세대를 위한 주택이라는 소제는 기획팀의 의견과 본인의 견해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평소 필자가 추구하고 있는 건축적 논리를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삶의 터전으로서의 미래주택인문사회레포트 ,
삶의 터전으로서의 未來주택
순서
들어가는 말
흐름의 논리
1. 경계영역 허물기
2. 흐름의 통로와 켜의 중복
3. 흐름과 관계성 건축을 goal(목표) 로
따라서 이러한 세대들이 추구하는 주택을 논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들의 theory(이론)에 의한 건축이 아직 현실화되어 있는 것을 볼 기회가 없었으며 그 주장 또한 우리 한국인의 삶, 감성과는 거리감이 있기 때문에 논외로 하고 그동안 필자가 생각하고 test(실험) 해 온 또 다른 가능성인 `Flowing Theory`에 대한 것도 제2세대의 槪念을 벗어나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제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삶의 터전으로서의 미래주택_3537.hwp( 84 )



설명
건축문화 잡지사에서 특집으로 기획한 [우리의 삶을 담을 미래 주택의 모습] 에서 필자에게 의뢰한 제3세대를 위한 주택이라는 소제는 기획팀의 의견과 본인의 견해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평소 필자가 추구하고 있는 건축적 논리를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흐름의 논리
현대건축은 새로운 기술혁명이 가져다 준 실패에 대한 탈출구로서 통상적이고 규칙적인 지각의 해체를 추구하고 있으나 文化(문화)의 빈약함과 세속화 과정은 그대로 지속되고 있다 근대건축의 중심槪念은 기능과 합리였다. 이는 인간의 행태와 경험되어지는 요소들을 관계되어진 공간으로 구축하려고 한 것이었으나 구축과정에서 나타난 것은 mean or average(평균) 치적 결과물의 추출로 인한 균질 공간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