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과 박헌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08:15
본문
Download : 김일성과 박헌영_2104954.hwp
그리고 혁명의 과정은 2단계 혁명으로 일반 근로 인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인민政府(정부)`가 점차 `노동자, 농민의 민주주의 독재정권`으로 발전해 간다고 보면서, `프롤레타리아의 헤게모니 확립`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관점은 부르주아지와 지주의 역할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었으며, 동시에 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혹은 공산주의를 배격하는 것이었다. 8월 테제는 1928년 코민테른 제 6 차 대회의 결의와 `12월 테제`의 `계급 대 계급`의 노선을 이어받은 것으로, 한국에서의 혁명을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으로 규정짓고 있다아 그 내용의 核心은 토지의 국유화를 통한 토지문제의 혁명적 해결이었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민족통일전선 문제는 전혀 고려될 수 없었고, 민족적인 과제(problem)가 절실한데도 극좌적 정치노선과 활동으로 치 닫을 수밖에 없게 된다된다. 이 테제는 조선공산당의 정세 인식을 나타내고 이후 조공 세력의 정치활동을 상당히 규정짓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Download : 김일성과 박헌영_2104954.hwp( 81 )






김일성과 박헌영에 대한 글입니다. 이는 당시의 정국에서 한민당, 국민당의 진보세력, 그리고 건준과 인민당의 대다수, 장안파 공산당을 배격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8월 테제`는 코민테른 제 7 회 대회에서 강조한 통일전선 또는 인민전선의 형성을 부정하는 것이었다.박헌영과김일성에관한 , 김일성과 박헌영인문사회레포트 ,
2) 조선 공산당 - 남로당
이 세력이 해방 공간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정당 조직이 될 수 있었던 기반은 우선 지방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조직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고, 둘째, 친일파 척결, 토지 문제 해결 등 민족적 과제(problem)를 제기하여 대중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동시에 이 세력의 정치적 노선이나 활동의 향배가 해방 후 한국사에 미치는 influence(영향)을 지대하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김일성과 박헌영에 대한 글입니다. 동시에 당면 目標(목표)를 일제의 청산으로만 내걸고, 낙관적인 대미 인식을 하면서 자주독립국가 건설에 대한 어떠한 구체적인 方案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아 이와 같은 조선 공산당…(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박헌영과김일성에관한
김일성과 박헌영
다.
박헌영이 조선 공산당을 재건하면서, 1945년 8월 `8월 테제`를 정치노선으로 하였다.